LLM19
-
<고객 사례> GPU 부족과 비용 부담, AI 스타트업 스캐터랩은 어떻게 극복했을까?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최근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높은 관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AI 서비스를 개발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 모델 학습과 서비스 운영에 필수적인 GPU 확보와 관리는 여전히 큰 도전 과제로 남아있죠. 특히 AI 스타트업들은 GPU 부족 현상, 높은 비용, 인프라 불안정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캐터랩의 카카오클라우드 도입 사례는 주목할 만합니다. 최근 폭발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는 스캐터랩이 어떻게 GPU 관련 이슈를 극복했는지, 그 과정에서 카카오클라우드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스캐터랩과의 서면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경험을 자세히 들어보았습니다. Q: 먼저 스캐터랩과 서비스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A: "네..
카카오 클라우드 서비스/고객 사례 2024. 10. 10. -
<지식 사전> 랭체인(LangChain)이란?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강력한 도구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최근 Chat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Gen AI) 기술이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이러한 AI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서비스나 제품을 만들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AI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것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일입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LangChain이라는 도구가 등장했습니다. 1. LangChain이란?LangChain은 AI, 특히 언어를 이해하고 생성하는 AI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쉽게 말해, AI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여러 가지 기능들을 미리 준비해둔 도구 세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LangChain의..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4. 9. 12. -
<지식 사전> RAG(검색 증강 생성)가 뭔가요? 실시간 검색과 AI의 똑똑한 만남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오늘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혁신적인 기술인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검색 증강 생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RAG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정확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입니다. 이 기술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떤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RAG의 정의와 개념 소개RAG는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의 약자로, '검색 증강 생성'이라고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생성 AI 모델에 검색 기능을 결합한 혁신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기존의 생성 AI 모델(예: GPT-3)은 사전에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텍스..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4. 7. 29. -
<뉴스> 카카오클라우드, NVIDIA와 함께 AI 개발자 부트캠프 성황리 개최
카카오클라우드와 NVIDIA가 손을 잡고 AI 개발자들을 위한 특별한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바로 지난 7월 11일 삼성동 카카오 강남오피스에서 열린 'NVIDIA X 카카오클라우드 원데이 AI 개발자 부트캠프'인데요, 이번 행사의 의미와 내용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번 부트캠프는 카카오클라우드의 NVIDIA GPU 인스턴스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복합 행사로 진행되었습니다. 행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요, 1부에서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세미나'가, 2부에서는 '카카오클라우드와 NVIDIA AI를 활용한 AI인퍼런스 부트캠프'가 열렸습니다. 1부 행사에서는 NVIDIA의 AI 솔루션과 카카오클라우드의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소개가 이루어졌습니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 세션에는 200명..
카카오 클라우드 소식/카카오클라우드 뉴스 2024. 7. 12. -
<지식 사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③ - 고급 기법 (CoT, ToT, ReAct)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초를 다졌으니, 이제 좀 더 심화된 내용으로 들어가 볼까요? 오늘은 Chain of Thought, Tree of Thought, ReAct 프레임워크 등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고급 기법들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기법들을 활용하면 AI 모델과 더욱 깊이 있는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고급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의 세계로 함께 출발해 볼까요? 1. Chain of Thought 프롬프팅,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며Chain of Thought(이하, CoT) 프롬프팅은 복잡한 추론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도록 유도하여 AI 모델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법입니다. 이는 앞 선 시간에 살펴 본 프롬프트 체이닝(Prompt Chaining)과 유사해 보일 수 있지만, 중요한 차..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4. 6. 25. -
<지식 사전>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란 ② - 기초 기법 (제로샷, 퓨샷, 체이닝)
지난 편에서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기본 개념과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은 실제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려고 합니다. 제로샷 프롬프팅, 퓨샷 프롬프팅, 프롬프트 최적화 등 다양한 기법들을 예시와 함께 소개해 드릴 테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실전에 적용할 수 있는 노하우를 함께 쌓아 보아요! 1. 제로샷 프롬프팅, 처음 보는 과제도 문제없어!제로샷 프롬프팅(Zero-shot prompting)은 사전에 특정 작업에 대한 예제나 데이터를 모델에게 학습시키지 않고, 모델이 이전에 학습한 일반적인 지식만을 활용하여 새로운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모델이 특정 도메인이나 작업에 대해 특별히 훈련되지 않았을 때 사용되며, 다양한 작업에 모델의..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