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130
-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케이드’(kade.lee), 글로벌 오픈소스 Cortex 메인테이너로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내가 만든 코드가 전 세계 개발자들이 참고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반영되는 순간”을 꿈꿉니다.카카오클라우드의 엔지니어 케이드(Kade)가 세계적으로 활용되는 오픈소스 프로젝트 Cortex의 정식 메인테이너로 선정됐다는 소식은, 그 꿈을 현실로 만든 특별한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메인테이너란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는 역할을 넘어,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생태계 운영까지 함께 고민하고 조율하는 리더의 자리입니다. 수많은 개발자와 협력·조율해야 하는 만큼, 뛰어난 기술 역량과 꾸준한 신뢰가 필수적입니다. 케이드의 여정은 한 회사와 개발자 개인의 성취를 넘어, 카카오클라우드가 오픈소스 생태계 안에서 어떤 성장 루프를 만들어내는가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사례입니다...
카카오 클라우드 소식 2025. 8. 28. -
<지식 사전> 프롬프트 체이닝으로 완성하는 AI 업무 자동화, 실전 워크플로우 가이드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지난 시간에는 프롬프트 체이닝의 기본 개념과 고급 활용 기법, 그리고 산업별 활용 시나리오까지 다뤄보았습니다.오늘은 한 걸음 더 나아가, 프롬프트 체이닝을 실제 업무 자동화에 적용했을 때 어떤 워크플로우가 구성되는지, 그리고 최근 글로벌 트렌드 속에서 주목해야 할 구현 포인트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프롬프트 체이닝, 이제는 ‘업무 설계’의 도구로프롬프트 체이닝(Prompt Chaining)은 단순히 프롬프트를 여러 개 이어 붙이는 방법이 아닙니다.이제는 업무 전체 흐름을 단계별로 쪼개어 설계하고, 각 단계에서 LLM이 최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업무 설계 도구’로 발전하고 있습니다.핵심은 복잡한 과제를 잘게 나누어 처리한다는 것입니다.예를 들어, “법률 계약서 검..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8. 19. -
<지식 사전> ANI, AGI, ASI … AI는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는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갖춘 AGI, 그리고 그 너머의 ASI는 정말 실현될까?"AI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이제는 단순한 자동화 도구를 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학습하며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가능성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LLM(대형 언어 모델)의 등장 후,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라는 용어는 더 이상 공상과학이 아닌 기술적 목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1. AI의 진화 스펙트럼, 그 의미는?AI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단계로 구분됩니다.첫 번째는 ANI(약한 AI)입니다.이는 특정 작업에 특화된 AI로, 우리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이미지 분류, 검색 추천, 자율주행의 일부 기능 등이 모두..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7. 11. -
<지식 사전> 현실을 이해하는 AI – 월드 모델(World Model)의 다음 진화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우리가 지난번 소개했던 ‘월드 모델’은 단순히 데이터를 흉내 내는 AI에서 벗어나, 세상이 ‘왜’ 그렇게 움직이는지를 이해하는 인공지능을 지향하는 기술입니다. 최근 이 기술은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양한 글로벌 AI 연구 기관들이 물리적 환경을 학습하고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월드 모델 시스템을 잇따라 공개하며, 이제는 개념을 넘어 로봇 제어,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현실 세계로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1. “AI, 물리 세계를 이해하기 시작하다”전통적인 생성형 AI는 이미지, 텍스트 등 정적 데이터의 ‘패턴’을 학습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러나 월드 모델은 여기에 인과관계와 물리 법칙, 즉 “왜 그렇게 되는가”를 학습 대상으로 삼습니다.예를 들어..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지식사전 2025. 7. 9. -
<인사이트> 작지만 강한 AI의 진화: 클라우드와 함께하는 sLLM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요즘 AI에서 빠지지 않는 주제? 바로 LLM(Large Language Model)이죠. GPT나 Claude 같은 모델들이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이런 LLM 모델들을 운영하기엔 많은 컴퓨팅 자원이 필요하기에 부담스러운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등장한 게 바로 sLLM, 즉 '작지만 강한' 경량화된 대규모 언어모델입니다.🧐 sLLM은 LLM의 주요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계산 자원, 메모리 요구량, 응답 시간 등을 획기적으로 줄인 모델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용적이고 경제적인 AI 솔루션을 가능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LLM이 뭔지, 기존 LLM과는 뭐가 다른지, 어떤 회사들이 잘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클라우드와 만나면 얼마나 강력해지..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인사이트 2025. 6. 16. -
<인사이트>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과 디지털 전환
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디지털 전환 물결이 전 산업계를 휩쓸고 있는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은 단순한 선택을 넘어 생존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네이티브란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하여 개발하고 운영하는 접근 방식을 지칭하며, 이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구에 민첩하게 대응해야 하는 기업들이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전략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이 디지털 전환을 어떻게 촉진하는지, 그리고 그 잠재 혜택과 도전과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의 장점 가장 큰 장점은 애자일(Agile)한 개발의 가능성입니다. 이 방식은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IT 클라우드 인사이트/IT 인사이트 2025.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