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카카오클라우드입니다. 오늘날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하는 능력은 기업에게 중대한 비즈니스 역량이 되었습니다. 기술의 발전, 특히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의 발전은 급격한 업무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많은 미래학자들은 2030년에 존재할 일자리의 최대 85%가 아직 발명되지 않았다고 추정한다고 합니다.
이러한 격변 속에서, 많은 리더들이 기술 투자에 집중하지만, 사실 기업의 진정한 차별화 요소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인재라는 점이 점점 더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인재 위기(Global Talent Crisis)는 AI 가속화, 원격 근무의 확산, 그리고 기술 격차의 심화가 융합되면서 구조적이고 예측 불가능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1️⃣ 글로벌 인재 위기와 AI의 양면성
인재 확보와 유지가 전 세계적인 도전이자 리스크가 되었습니다. 2030년까지 숙련된 인력 부족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8,500만 개 이상의 일자리가 미충원될 수 있으며, 이는 연간 8조 5천억 달러에 달하는 수익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기술은 핵심적인 비즈니스 동력이지만, 은행과 같은 산업이 클라우드, AI, 사이버 보안 등에 상당한 투자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인력이 기술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여 민첩성이나 통찰력과 같은 원하는 이점을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인재 부족은 실행 위험, 고객 서비스 부족, 잠재적인 규정 준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AI는 루틴한 업무를 대체하고 인간을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에 투입할 것이라는 이론과는 달리, 실제로 새로운 기술 위기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챗봇, 코파일럿과 같은 도구들은 순식간에 직무 정의를 다시 쓰고 있으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 윤리, 인간-AI 협업과 같은 새로운 역할이 등장했지만,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아직 이러한 역할을 가르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2️⃣ 미래 인재 전략의 핵심: 인간적 기술 + 기술적 기술 (Human+ Skills)
자동화가 확산될수록, 역설적으로 가장 수요가 많은 특성은 인간 고유의 자질입니다. 미래의 업무에 대비하기 위한 최상의 준비는 기술적 기술과 인간적 기술의 통합에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유연성, 정신적 민첩성, 윤리, 회복탄력성, 시스템 사고, 의사소통, 비판적 사고, 리더십, 문제 해결과 같은 '인간적 기술(Human skills)'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 기술을 넘어 사람을 채용하라: 기술 전문성은 항상 중요하겠지만, 기술적 능력은 평균 2.5년마다 구식이 되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만을 보고 채용하는 것은 장기적인 성공 전략이 아닙니다. 대신, 기업은 영속적인 인간적 기술을 보고 채용하고, 기술적 기술은 교육하는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합니다. 한 기술 책임자는 기술적 기술은 고치기 쉽지만, 개인적(인간적) 기술은 고치기 훨씬 어렵다고 언급했습니다.
- 공감 능력의 중요성: 기술 전문가에게 다음으로 배워야 할 기술을 물었을 때, 많은 이들이 머신러닝이나 클라우드와 같은 것을 기대하지만, Eli Lilly의 한 경영진은 "공감의 기본"에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성공하려면 기술적 능력과 함께 감성 지능(EQ) 기반의 기술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3️⃣ AI 시대의 인사전략, 여섯 가지 핵심 고려 사항
인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은 더욱 인간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하며, 특히 인재 관리를 단순한 비용이 아니라 전략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연료로 간주해야 합니다. 인재 관리 리더들은 2025년의 주요 전략적 우선순위로 인재 관리 현대화, 리더십 역량 가속화, 참여 및 성과를 위한 인재 성장 등을 제시했습니다. 성공적인 인재 전략을 위한 핵심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유연성을 위한 투쟁 (Fight for flexibility):
유연/하이브리드 근무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고성과 기술 인재를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기술 전문가의 46%는 원격 근무 유연성을 중단하는 조직을 떠날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유연성은 회사가 지리적 제약을 넘어 인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업무의 목적과 의미 강조 (Promote meaning and purpose):
인재들은 단순히 일자리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이 있는 업무를 원합니다. 고성과 인재를 유지하는 두 번째 방법은 설득력 있는 미션, 비전 및 목적을 만드는 것입니다. - 경력 경로에 대한 자율성 부여 (Let talent chart their own paths):
학습 및 성장 기회의 부족은 참여도가 높은 직원들이 새로운 직장을 찾는 주요 이유입니다. 리더들은 고성과자들에게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AI 기반 학습 플랫폼은 대규모의 맞춤형 개발을 지원하며, 기업은 견습 제도와 같은 대안적 경력 모델도 개발해야 합니다. - 기술 격차에 대한 의도적인 접근 (Be intentional about skills gaps):
기술 리더들은 필요한 기술을 가진 인재를 채용하거나 기존 인재를 업스킬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내부 아카데미를 만들어 내부 전문가가 팀원들을 가르치게 함으로써 인재를 내부에서 성장시키는 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포용성에 집중 (Focus on inclusion):
젊은 근로자들, 특히 기술 산업의 밀레니얼 및 Z세대는 직장의 다양성과 포용성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DEI 이니셔티브는 종종 기술 의제의 최하위로 밀려나지만, 포용적인 문화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 만족하는 젊은 세대는 직장에 더 오래 머물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더들은 인재를 찾는 채널을 재고하고,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 멘토링 프로그램이나 기술 우선 채용(skills-first hiring)을 고려해야 합니다.
4️⃣ 인재는 지속적인 가치 창출의 엔진
인재 관리에 자원과 시간을 선행 투자하는 것이 때로는 부담스러워 보일 수 있지만, 이는 다른 주요 기술 투자와 마찬가지로 장기적인 투자 마인드를 가지고 접근해야 하는 영역입니다.
인재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준비시키고, 조직에 통합할 때, 이들은 높은 가치를 창출합니다. 성공적인 기술 리더는 인재를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업무가 목적성 있고, 유연하며, 생산적이고, 보람 있도록 만드는 광범위한 맥락에도 집중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 기술 기반의 가치창출 엔진은 사람이며, 기술 그 자체가 아님을 기억해야 합니다.
참고문헌 출처
- Attracting And Retaining Talent Has Increasingly Become A Critical Business Risk | Forbes
- How to Design Your Company's Talent Development Framework | Korn Ferry
- Human + Skills For The Future of Work | Lumina Foundation
- Leadership Vision for 2025: Talent Management Leaders | Gartner
- Reimagine your tech talent strategy: Talent, not technology, may be your secret weapon | Deloitte Insight
- Role of Talent Development Process on Competitive Advantage of Telecommunication Firms in Nairobi City County, Kenya | ARC Journals
- Talent, not technology | Kearney
- The Global Talent Crisis and the Future of Work | World Economic Magazine
- The secret to a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s talent, not tools | Kearney
- Which is more important – technology or talent? | MACNY
✅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를 소개합니다.
- <인사이트> 핵심 시스템의 진화 - AI가 기업 시스템의 판도를 바꾸다
✅ 최신 IT업계 동향과 클라우드 인사이트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카카오클라우드의 뉴스레터 '카클레터'를 구독하세요! 👉 '카클레터' 구독하러 가기


댓글